Surprise Me!

[재테크 쏙쏙] "노후대비는 국민연금"...'반납·추납' 신청 봇물 / YTN

2017-11-15 0 Dailymotion

[앵커]<br />최근 50~60대를 중심으로 과거에 일시 수령한 국민연금을 반납하거나 사정상 내지 못했던 보험료를 내겠다는 신청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추납, 반납, 임의가입 이런 용어도 함께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, 오늘 '재테크 쏙쏙' 시간에는 국민연금을 좀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정철진 경제 컬럼니스트와 함께 합니다.<br /><br />국민연금, 최근 여러 가지 잡음도 있었지만, 국민들의 노후준비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죠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국민연금공단의 최근 5년간 반납 및 추후납부 현황을 보면 이해가 쉬우실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반납 신청자는 2013년 6만 8792명에서 지난해 13만 1400명으로 3년 새 거의 2배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추납 신청자 역시 작년 9만 명을 넘어 3년간 3배 이상으로 급증했고요, 임의계속가입자는 더 폭발적입니다.<br /><br />2010년 5만 명 정도였던 임의계속가입자는 2016년 28만 명을 넘었고, 올 1월 30만 명을 돌파했거든요, 그러니까, 2010년 대비 6배 가까이 늘어난 겁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그런데 중요한 건 방금 말씀하신 추납, 반납, 임의계속가입, 또 임의 가입도 있죠.<br /><br />하지만 이런 용어부터 좀 짚어주셨으면 좋겠어요.<br /><br />[인터뷰]<br />먼저, 국민연금에 대해 정리하고 가보겠습니다.<br /><br />국민연금은 만18~59세의 소득이 있는 국민은 반드시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사회보험인데요,<br /><br />이때 '사회보험'이란 부분이 중요한데, 개인연금과 달리 납입 보험료 중 일부가 큰 틀에서 소득재분배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는 뜻입니다.<br /><br />또한 국민연금은 정해진 산식에 따라 연금액이 결정되는 확정 급여형이지만요,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바로 인플레이션(물가상승률)을 매년 반영한다는 건데요, 상당한 매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가입유형도 다양해요, 앞서 추납, 반납, 임의계속가입, 이런 것도 바로 가입자격과 관련해 나오는 제도 들인가요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그렇습니다. 국민연금의 가입유형은 크게 4가지로 나뉘어지는데요,<br /><br />사업장가입자(직장인), 지역가입자(자영업자·프리랜서 등), 임의가입자, 임의 계속 가입자 등인데요, 본인의 상황에 따라 바뀝니다.<br /><br />가령 샐러리맨이 회사를 퇴직하고 사업을 시작하면 사업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로 자동으로 바뀌게 됩니다.<br /><br />그런데요, 국민연금을 노후에 수령하기 위해서는 10년간은 반드시 납입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90_2017041817064003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